자아 방어 기제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06:23
본문
Download : 자아 방어 기제에 대하여.hwp
ss , 자아 방어 기제에 대하여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다.방어기제의 의미 및 종류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미성숙된 방어기제부터 성숙된 방어기제까지 자세하게 나열하고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예로 갓난아이는 어머니가 웃으면 자기가 웃는 줄 알고 자기가 좋아하는 줄 아는 상태이다.
함입이란 영아가 좀 커서 이제는 적어도 “자기”와 “자기 아닌 것” 을 구별하는 시기에 와서 일어나는 동일시로 어떤 외계 대상도 나와는 다른 생각이 있고 느낌이 있는 대상으로 믿고, 나름대로 외계의 대상을 인정하면서 자신의 내면속에 받아들이는 것이다.
4)행동화(Acting out)
행동화는 무의식적인 소망이나 충동을 행동화한 이후에 나타날 부정…(To be continued )
방어기제의 의미 및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고 미성숙된 방어기제부터 성숙된 방어기제까지 자세하게 나열하고 설명했습니다.
자아 방어 기제에 대하여
Download : 자아 방어 기제에 대하여.hwp( 95 )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ss






A. 서론
B. 방어기제의 의미
C. 방어기제의 종류
1. 자아도취 적 방어기제
1). 부정(Denial)
2). 투사(Projection)
3). 왜곡(Distortion)
2. 미성숙 단계의 방어기제
1). 동일시(Identification)
2) 수동-공격행동(Passive-Aggressive Behavior)
3) 신체화 (Somatization)
4) 행동화(Acting out)
5) 퇴행 (Regression)
6) 회피(evasion)
3. 신경증적 방어기재
1).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2). 전치(Displacement)
3). 통제(Controlling)
4). 합리화(Rationalization)
5). 퇴행 (Regression)
6). 해리(Dissociation)
4. 성숙된 방어기제
1). 억제(Suppression)
2). 예견(Anticipation)
3). 승화( Sublimation)
4). 이타주의(Altruism)
5). 유머(Humor)
C. conclusion
출처
(5) 합일화와 함입 incorporation and introjection
합일화는 ‘자기’ 와 ‘자기가 아닌 것’을 전혀 분별하지 못하는 영아기적 동일시로 외계에 있는 대상을 입으로 삼키듯 동화하여 자아의 형태를 변형 없이 그대로 자기 자아의 구조 속으로 들어오게 하는 원시적 방법의 동일시이다. 예를 들면 사랑하던 남편이 죽은 뒤 홀로 된 과부가 남편의 심상과 이미지에 대한 동일화를 하여 , 남편이 현실에 있는 것으로 여기면서 매사에 처신하는 경로 마음속의 남편과 이야기를 하고 그 남편을 원망하기도하는 행동을 보인다. 예로서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배가 아프다고 하든지, 머리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것이 좋은 예이다.
2) 수동-공격행동(Passive-Aggressive Behavior)
수동공격행동은 타인에 대한 공격적 감정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간접적, 수동적인 저항을 표현함으로써 공격적인 감정을 처리하는 심리기제로 실수, 꾸물거리는 행동, 저항적인 묵묵부답 등이 있다 수동적-공격행동은 어느 시기까지는 개인보다 상대방에게 자극을 주지만, 나중에는 개인 자신에게 해롭고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가 있다
3)신체화 (Somatization)
신체화는 심리적인 갈등이 신체부위의 증상으로 전환됨으로써 신체反應을 나타내는 심리기제 김영숙, po.cit.,, p.7.
로서 개인이 해결하기 어려운 갈등에 처해지면 반복적인 신체증상을 보이면서 심리적 갈등을 회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