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수필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6 11:03
본문
Download : 고전수필의 이해.ppt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고전수필의,이해,감상서평,레포트
설명
고전수필의 이해 , 고전수필의 이해감상서평레포트 , 고전수필의 이해
고전수필의 이해
고전수필의 이해






고전수필의 이해
발표 순서
고전수필의 일반적 이해
시대 흐름에 따른 작가별 감상
고전수필과 현대수필
한국의 수필과 China의 수필
고전 수필의 일반적 이해
- 수필의 명칭
시를 지음에 말굽인 듯 붓을 좇아 달리고
사냥을 즐김에 매깃인 양 하늘 높이 날아오르네
백거이, [송영호상공부태원]
隨筆 → 수필!
시의 창작기법을 나타낸
것 뿐이구나…
고전 수필의 일반적 이해
- 수필의 명칭
홍매 ≪용재수필≫, 윤흔 ≪도재수필≫
: ‘수필’이 문학 장르로서의 의미를 나타내는 이름
으로 쓰이기 스타트한 작품
≪한거수필≫에 이르러 문학적 성격이 짙어지기 스타트
박지원 ≪열하일기≫ 중 [일신수필]이 온전한 구성체
계를 갖춘 수필의 첫 등장으로 주로 평가 됨
문학의 한 장르로서의 수필?
고전 수필의 일반적 이해
- 수필의 명칭
서양의 에세이(essay)?
: 몽테뉴 ≪수상록≫ 이라는 책 이름에서 비롯.
베이컨에 의해 영국으로 도입, 발전하게 된다
日本(일본)이 에세이를 도입하면서 우리나라의 수필을 같은
것으로 규정, 두 槪念 사이 혼란을 가중시키기도 함
우리나라의 수필은 서양의 影響(영향)을 받아 발전하지 않음
한문학에서 오래 전부터 존재해 온 독자적인 양식
에세이 〓 수필?
고전 수필의 일반적 이해
- 수필의 성격과 槪念
《사고전서》
- 동양의 문학 양식을 집대성 한 것으로 평가되는 청나
라 때의 책
- China 고대에서부터 당대까지의 작품을 망라한 책
- 총 네 부로 이루어짐: 경(經)·사(史)·자(字)·집(集)
고전 수필의 일반적 이해
- 수필의 성격과 槪念
《사고전서》
- 수필의 명칭을 지닌 서목: 경부(經部), 사부(史部), 자
부(字部)
- 이들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 시화(詩話), 여행기(旅行
記), 독후감(讀後感), 견문록(見聞錄) 등을 포괄
∴ ‘수필’이라는 …(drop)
Download : 고전수필의 이해.ppt( 55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