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금오신화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21:29
본문
Download : 금오신화 연구.hwp
그 후 林熒澤 林熒澤, 「現實主義的 世界觀과 金鰲新話…(drop)
다. 그는 김시습이 금오산에 들어가 책을 지어서 석실에 비장해 두고 이르기를, 후세에 반드시 나를 아는 자 있으리라 했는데 그 글은 대체로 述異寓意로서 『전등신화』를 본받아 지은 것이다 金安老, 『龍泉談寂記』. 라고 했다. 그 후 崔南善 『金鰲新話』란 결초 卓越한 大作이랄 것이 아니며 先儒의 說과 같이 明初 구우의 『剪燈新話』에 依한 一傳奇니 그 體制와 措辭上에서 뿐만 아니라 立題命意와 取材設人에 까지 『剪燈新話』를 藍本으로 하였다 하면서 個別作品을 對比시킨 논의다(崔南善, 『啓明』19, 1927). ․金台俊 金台俊, 『朝鮮小說史』(朝鮮語學會, 1933). ․周王山 周王山, 『朝鮮古代小說史』(正音社, 1950). ․朴晟義 朴晟義, 『韓國古代小說史』(일신사, 1958). ․金起東 金起東, 『李朝時代小說論』(精硏社, 1959). ․鄭鉒東 鄭鉒東, 『古代小說論』(형설출판사, 1966). ․申基亨 申基亨, 『韓國小說發達史』(창문사, 1960). 등이 『금오신화』는 『전등신화』를 모방한 한국 최초의 소설이라고 간주했다.[국문학] 금오신화 연구
Ⅰ. 서론, 1.생애, 2.사상, 1)유교사상 , 2)불교사상, 3)도교사상, Ⅱ. 본론, 1.金鰲新話의 創作淵源과 그 背景, 2.金鰲新話 구조 analysis(분석) , 1)萬福寺樗蒲記(만복사 저포기), 2)李生窺墻傳(이생규장전), 3)醉遊浮碧亭記(취유부벽정기), 4)南炎浮洲志(남염부주지), 5)龍宮赴宴錄(용궁부연록), Ⅲ. conclusion(결론), , 다운로드 : 48K
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취유부벽정기,남염부주지,김시습,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Ⅰ. 서론, 1.생애, 2.사상, 1)유교사상 , 2)불교사상, 3)도교사상, Ⅱ. 본론, 1.金鰲新話의 創作淵源과 그 背景, 2.金鰲新話 구조 분석, 1)萬福寺樗蒲記(만복사 저포기), 2)李生窺墻傳(이생규장전), 3)醉遊浮碧亭記(취유부벽정기), 4)南炎浮洲志(남염부주지), 5)龍宮赴宴錄(용궁부연록), Ⅲ. 결론, , FileSize : 48K , [국문학] 금오신화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김시습
순서
Download : 금오신화 연구.hwp( 15 )
Ⅰ. 서론
1.생애
2.사상
1)유교사상
2)불교사상
3)도교사상
Ⅱ. 본론
1.金鰲新話의 創作淵源과 그 背景
2.金鰲新話 구조 分析
1)萬福寺樗蒲記(만복사 저포기)
2)李生窺墻傳(이생규장전)
3)醉遊浮碧亭記(취유부벽정기)
4)南炎浮洲志(남염부주지)
5)龍宮赴宴錄(용궁부연록)
Ⅲ. 結論
金時習에 관한 연구는 『金鰲新話』연구로부터 처음 된다 『금오신화』를 明나라 구우(1341~1427)의 『剪燈新話』와 비교한 사람은 金安老이다. 이에 비해 李在秀는 「萬福寺樗蒲記」는 「등목취유취경원기」를 모방한 것이 아니며, 「南炎浮洲志」는 「令狐生冥夢錄」과 유사점을 인정, 「龍宮赴宴錄」은 「水宮慶會錄」에 influence(영향)을 입은 것으로 보고 李在秀, 『韓國小說硏究』(宣明文化史, 1969). 있다 그러자 張德順은 「만복사저포기」가 『전등신화』의 「富貴發跡司志」와 같은 계열이 아니 며 「등목취유취경원기」의 모방작이 아님을 주장 張德順, 『韓國說話文學硏究』(서울대 출판부, 1978), 236~237쪽 했다.